본문 바로가기
주식

2025년 계란 관련주 TOP 5 | 유망 테마주 & 대장주 총정리

by 토끼형아 2025. 4. 4.
반응형

[제주=뉴시스] 우장호 기자 = 26일 오전 제주시 애월읍 소재 제주웰빙영농조합법인에서 100% 재생에너지로만 생산된 'RE100' 인증 계란인 '지구란'이 세척·살균 공정을 위해 투입되고 있다.

2025년 들어 미국발 계란 대란이 글로벌 식량시장에 새로운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조류인플루엔자(HPAI) 확산으로 인해 미국 내 산란계 수가 급감하고, 이로 인해 계란 가격이 폭등하자 미국은 한국을 포함한 해외에 계란 수입을 요청하고 나섰습니다.

특히 한국에서는 2025년 3월, 충남 아산의 계림농장이 미국 조지아주로 약 33만 개에 달하는 특란을 수출하며 본격적인 공급 역할을 시작했습니다.

이처럼 수출 모멘텀과 계란 가격 상승 흐름이 맞물리며 국내 양계·식품기업들에 대한 투자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슈의 중심에 있는 계란 관련주 TOP 5를 선정해 주요 기업들의 특징과 투자 포인트를 짚어보겠습니다.


✅ 계란 가격 상승, 왜 일어났나?

미국 계란값은 2025년 1월 기준 한 다스(12개)에 $4.95까지 치솟으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조류인플루엔자로 수천만 마리의 산란계가 살처분된 데다, 고물가로 인한 공급망 불안이 겹친 결과입니다.

미국 농무부는 매달 최대 1억 개의 계란을 한국에서 수입할 의향을 밝혔다고 전해졌고, 이에 따라 국내 기업들의 수출 기회가 커지고 있습니다.


✅ 2025년 계란 관련주 TOP 5

🔹 체리부로 (066360)

계란 관련주 체리부로

분야: 양계 / 계란 생산 전문
내용: 동물복지 인증을 받은 친환경 양계장 운영. 계란 브랜드 ‘체리푸드’로 잘 알려진 기업.
투자포인트: 국내 첫 미국 수출 사례 기업으로, 향후 추가 수출 확대 기대감 매우 높음.

해당종목 자세히 알아보기

 

🔹 마니커에프앤지 (195500)

계란 관련주 마니커에프앤지

분야: 계란 가공 / 식품 OEM
내용: 액란, 냉동란 등 가공계란 생산과 유통 중심. 식자재 B2B 공급에 강점을 가진 기업.
투자포인트: 미국이 원한 품목 대부분이 가공계란 → 직접 수출 수혜 가능성 부각.

해당종목 자세히 알아보기

 

🔹 동우팜투테이블 (088910)

계란 관련주 동우팜투테이블

분야: 축산 / 도계 / 유통
내용:
닭고기와 계란 유통을 동시에 하는 종합 축산 식품기업. 도계장 및 유통망 보유.
투자포인트:
계란·육계 테마가 동시에 부각될 수 있는 구조 → 이슈 발생 시 탄력적 상승 기대.

해당종목 자세히 알아보기

 

🔹 정다운 (208140)

계란 관련주 정다운

분야: 축산물 유통 / 계란 공급
내용: 계란, 오리 등 축산물 유통 및 가공 전문 기업. 동물복지 제품 확대 중.
투자포인트: 국내 대형 유통업체에 납품 중 → 계란 공급 부족 시 수혜 가능성 있음.

해당종목 자세히 알아보기

 

🔹 고려산업 (002140)

계란 관련주 고려산업

분야: 사료 제조
내용: 양계용 배합사료 생산을 주력으로 하는 기업. 국내 사료시장 상위권 점유.
투자포인트: 계란 수요 증가 → 산란계 사육 증가 → 사료 수요 동반 상승.

해당종목 자세히 알아보기


✅ 향후 투자 전략 및 유의사항

계란 관련주는 단기적인 테마 모멘텀과 중장기 수출 확장이라는 두 가지 포인트를 동시에 갖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의 수입 요청과 한국의 수출 대응은 앞으로도 몇 차례 이슈가 반복될 가능성이 있으며, 그에 따라 관련 종목들의 단기 급등 가능성도 높습니다.

다만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수출 규제, 국내 물가 관리 정책 등으로 인해 단기 변동성은 클 수 있는 섹터이므로 다음과 같은 투자 전략을 권장합니다:

  • 뉴스 속보에 민감하게 대응할 것 (수출 계약, AI 발생 등)
  • 실적 기반 + 수급 테마가 만나는 지점 주목
  • 사료·가공 등 간접 수혜주도 병행 관심 가질 것

✅ 마무리하며

계란 가격은 단순한 식품 물가 이슈를 넘어 글로벌 공급망 문제와 수출 경쟁력이라는 큰 흐름과 맞닿아 있습니다. 특히 2025년은 한국 계란 기업이 미국 시장에 진출한 원년으로 평가받을 수 있을 만큼 상징적인 해입니다.

오늘 소개한 종목들은 각각의 밸류체인에서 의미 있는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추후 유사한 테마 이슈가 발생할 때 가장 먼저 반응할 수 있는 핵심 테마주로 계속 주목해볼 필요가 있습니다.